예비창업패키지 및 초기창업패키지는 창업을 고민하는 많은 분들이 가장 많이 지원하는 대표적인 정부지원사업입니다. 올해는 공고가 예정보다 늦어지면서, 지원을 준비 중인 분들이 더욱 애타게 기다리고 계실 텐데요.
하지만 지금 이 시간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합격 가능성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 이럴 때일수록 심사위원이 중요하게 보는 ‘사업계획서의 핵심 요소’를 미리 점검하고, 강점을 보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2023년 평가위원이 직접 전하는 사업계획서 합격 노하우를 준비했으니, 예창패/초창패 지원을 앞두고 있다면 놓치지 마세요.
*이 콘텐츠는 정부 창업지원사업 평가위원이자 예창패 전문 멘토인 백지훈 님의 강연을 재구성하여 작성하였습니다
📌 이런 내용을 알려드려요!
사업계획서 작성 전 반드시 알아야 할 3가지
사업계획서의 기본 뼈대, PSST 핵심 포인트
전 예창패 심사위원이 알려주는 합격을 가르는 꿀팁
사업계획서 작성 전 반드시 알아야 할 3가지
사업 계획서는 회사 소개서나 제품 소개서가 아닙니다.
사업 계획서는 최소한의 타당성이 검증된 아이템을 바탕으로 어떤 고객을 대상으로 어떻게 수익화하고, 어떻게 확장할 것인지에 대한 계획과 방법을 문서화한 것입니다. 단순한 회사 소개, 서비스 소개, 제품 소개, 판매와 영업에 관련된 마케팅 자료와는 완전히 다르다는 점을 꼭 기억해 주세요.
아이템으로만 승부 보려고 하지 마세요. 이제 대부분의 아이템은 새롭지 않습니다. 창업자 본인은 기발하다고 생각하겠지만, 기존에 비슷한 아이디어와 모델이 있는 경우가 매우 많습니다. 어쩌다 정말 기발한 아이템이 나와도 그걸 사업으로 추진했을 때 실패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 아이템이 좋다’가 아니라 ‘이 아이템에 대한 비즈니스 모델(BM)을 이렇게 세워서 이 사업을 잘 해내겠다’라는 내용이 필요합니다.
모든 논리는 객관적, 정량적, 계획적이어야 합니다.
‘더 좋다, 더 예쁘다’와 같은 주관적이고 추상적인 이야기는 금물입니다. 모든 근거는 (1) 고객이 원하고 (2) 돈이 되고 (3) 우리가 잘할 수 있다는 점과 연결되어야 합니다.
ex. ‘더 예쁩니다/ 더 튼튼합니다’ (X) → ‘경쟁 제품과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 실험 참가자의 80%가 우리 제품 선택’ (O) → ‘내구성 테스트 결과 기존 제품 대비 30% 향상’ (O)
사업계획서의 기본 뼈대, 'PSST' 핵심 포인트
다양한 지원 사업 공고를 보면, 대부분 사업계획서 양식이 문제 인식(Problem), 실현 가능성(Solution), 성장 전략(Scale-up), 팀 구성(Team)이라는 큰 틀을 바탕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PSST’라고 부릅니다.